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서울 2억 미만 전세 가구수 5년새 반토막…30만 가구 줄어

전세가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서울 내 2억 원 미만으로 구할 수 있는 아파트 전세 가구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에 따르면 5월 4주 현재 서울 2억 원 미만 전세 가구수는 총 38만2885가구다. 5년 전인 2008년 5월 4주 기준 68만3580가구와 비교하면 30만695가구나 감소했다. 거의 반토막 수준인 셈이다.

2억 원 미만 전세 가구수는 송파구 재건축 단지 입주 영향으로 역전세난이 발생했던 2008~2009년을 제외하면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자치구별로는 송파구가 5년 전 2만9202가구에서 6463가구로 2만2739가구가 줄어 가장 큰 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송파구는 6600가구 규모의 가락시영이 이주를 시작하면서 2억 원 미만 가구수에서 제외됐고, 역전세난 이후 전세가격이 크게 오르는 과정에서 가락동 쌍용1차, 문정동 건영, 신천동 장미1차 등 다수의 단지들이 전세가격 2억 원을 넘어섰다.

다음으로 성북구가 3만6434가구에서 1만4091가구로 2만2343가구 줄었다. 성북구의 경우 길음동, 돈암동, 정릉동 일대 입주 10년 내 아파트 전세가가 2억 원을 넘어선 경우가 많았다. 이에 해당하는 단지는 길음동 길음뉴타운2~6단지, 돈암동 브라운스톤돈암, 정릉동 정릉힐스테이트3차 등이다.

강서구는 4만6262가구에서 2만5321가구로 2만941가구가 줄었다. 강서구는 가양동, 염창동, 등촌동 등에서 감소 가구수가 많았다. 이는 2009년 7월에 개통된 서울지하철 9호선이 전세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밖에 2억 원 미만 전세 가구수가 많이 줄어든 지역으로는 영등포구 2만544가구, 구로구 1만9320가구, 강동구 1만8736가구 등이다.

반면 5년새 2억 원 미만 전세 가구수 감소가 적었던 자치구는 종로구 1705가구, 은평구 1834가구, 중구 2387가구, 금천구 2903가구 등이다.

이 중 종로구와 중구는 저렴한 전세가 많지 않은 지역적 특성이 있다. 5년 전 2억 원 미만 가구수가 종로구는 3752가구, 중구는 2807가구에 불과했다. 은평구와 금천구는 나홀로 아파트 등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아직까지 2억 원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조은상 부동산리서치팀장은 "전세가격이 2009년 이후 크게 오르면서 서울에서 저가 전세를 구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앞으로 강남권 재건축이 진행되면 저가 전세는 더욱 줄어들 예정이기 때문에 서울시와 정부는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고 주택바우처 제도를 확대 시행하는 등 서민 주거 안정에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