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트 비용 등으로 카드론을 썼던 4년차 직장인 김승인(가명·34)씨는 17.8%의 이자를 S카드사에 내고 있다. 그나마 정규직이어서 20% 넘는 고금리를 내지 않는 것을 다행으로 여겼다. 김씨는 "금리가 높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높은 것 아니냐'고 따지다가 상환하라고 하면 더 곤란해지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7월부터는 김씨도 당당하게 신용카드사에 금리인하를 요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10월부터는 카드사별로 들쑥날쑥했던 고객등급이 없어지고, 신용등급별로 통일된 대출금리가 적용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신용카드 소비자 신뢰 제고 방안을 올해 하반기부터 시행할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카드사가 우월적인 지위에서 부당하게 영업해왔던 것을 소비자보호 관점으로 전면 뜯어 고치려는 것"이라며 "카드론 금리인하 요구권을 올해 하반기부터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은행권에서는 이미 시행 중인 금리인하 요구권은 취업이나 연봉상승 등 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만한 변화가 생겼을 때 고객이 신용대출 금리를 내려달라고 제안할 수 있는 권리다.
또 10월부터는 카드사와 캐피탈사의 회원등급을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에 따라 통일해 대출금리와 할부금리를 공시하도록 할 방침이다.
은행권처럼 카드 신용등급체계를 10등급으로 재분류해 현금서비스·카드론·리볼빙·할부 등의 대출금리가 일목요연하게 공시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신용등급 체계를 통일해 대출금리를 합리화하는 것으로 3분기까지는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시행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안금융연구소 관계자는 "좋은 제도인데, 이왕 할꺼라면 빨리 할 수 있지 않느냐"며 "(대출금리 공시는)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