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부실대출의 역습에 놀라고 있다. 믿었던 기업대출 부실이 늘은데다, 자영업대출 부실위험 증가, 가계대출 부실을 우려하고 있다. 삼중고를 겪고 있는 은행들이 하반기를 앞두고 서민대출의 고삐를 바짝 조일 수 있어 가계의 대비가 필요하다.
8일 은행권에 따르면 올 들어 부실대출이 2조원 새로 쌓였다. STX를 비롯한 대기업의 잇따른 부실과 가계대출 연체에서 비롯한 결과다. 또 자영업자 대출 부실위험도 커졌다.
최근 한국은행은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부동산임대업과 도소매업, 음식숙업에 대한 은행의 자영업자대출 금액이 101조원으로 가파르게 늘고 있어 우려가 키지고 있다고 밝혔다. 3년만에 23조원이나 불어난 탓이다.
업친데 덮친격으로 은행의 가계대출도 대폭 증가했다. 정부의 주택시장 정상화 종합대책에 주택거래가 늘어난 때문이다.
이날 한은은 4월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기말기준)은 전월보다 4조2000억원 불어났다고 밝혔다. 당장은 아니지만 하반기 부실 대출의 위험성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위험성이 커지면서 은행들이 '대출 조이기' 검토에 나섰다. 시행에 앞서 파급효과를 따져 보고 있는 것이다.
NH농협은행 관계자는 "창구에서 대출을 줄이고 있지는 않다"면서도 "경기침체에 저금리가 지속되니 (대출상황을) 검토는 해야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도 "가계보다는 조선, 건설 등 특정 기업군의 대출을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이미 (가계에) 추가 대출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서민안정을 위해 가계대출을 급속히 줄일 수는 없지만 대손충당금 납입 등의 이슈가 발생할 하반기에는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서민들이 금융대책을 세워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