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삼성화재, 임직원 과반수 "가정의 달 부담스러워"

5일, 8일, 15일, 20일, 21일…. 그냥 넘어가기는 눈치가 보이고, 생각만 해도 부담이 되는 5월. 5월과 가족을 둘러싼 직장인들의 솔직한 속마음은 무엇일까?

삼성화재(사장 김창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지난 달 22일부터 26일까지 사내 블로그 '익사이팅 톡톡(Exciting Talk Talk)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여자 466명, 남자 644명 등 총 1110명의 직원이 참가했다. 이에 따르면 과반수 이상의 임직원들은 5월을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이유로는 '돈이 많이 들어서'(50%), '시간 내기가 힘들어서'(15%), '서먹한 가족(시댁/처갓댁) 만나기 싫어서'(2%)가 차지했다.

5월 '총 지출 예상 비용'에 대한 답으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30~50만원 지출'(53%)을 예상했다. '30만원 미만'(21%)의 알뜰족이 2위, '60만원~90만원'(18%)이 3위, '100만원 이상'(8%)이라는 답도 있어 5월의 얇아진 지갑을 실감케 했다.

어버이날 또는 어린이날 준비하고 있는 선물로는 단연 '현금 또는 상품권'(50%)이 압도적이었다. 2위로는 '식사 대접'(22%), 3위는 '적당한 선물'(19%), 4위는 '여행'(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삼성화재 임직원 중 64%는 '부모에게 종종 서운함을 느낀다'고 했다. 특히 '어려운 일이 있어도 혼자 끙끙대는 모습을 볼 때'(25%), '나보다 돈을 더 반길 때'(23%) 직장인들은 부모에게 서운해진다. 뿐만 아니라 '내 남편(아내), 내 자식 나무랄 때'(9%)와 '아직도 아이 취급할 때'(7%)도 서운함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자녀와의 관계에서는 절반 가량이 '아직 참을 만 하다'고 답변한 반면 나머지는 자식을 보며 속 터지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청개구리같이 행동하고, 반항하고, 어깃장을 부릴 때'(26%), '과외를 시켜도 성적이 안 나올 때'(5%), '벌써부터 여자(남자)친구만 챙길 때'(4%), '용돈만 밝힐 때'(3%) 자식에게 서운하다고 밝혔다.

부부 사이에도 서운함은 있게 마련이다. '어떤 경우에 남편에게 열이 받는지' 묻는 질문에 여성 응답자들은 '시댁과 마찰이 생겼을 때'(14%), '집안일 안 도울 때'(13%), '돈 낭비할 때'(12%), '내게 무관심할 때'(12%), '육아 문제 나 몰라라 할 때'(10%) 등을 들었다.

반면 남자들은 집안일이라면 질색이다. 가장 하기 싫은 집안일로는 '쓰레기 분리수거(15%)'가 1위였으며, '청소'(12%), '요리'(8%), '빨래, 설거지, 육아지도'(7%), '장보기'(3%)가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이런 마음을 '터 놓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35%에 달했다. 하루 평균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1시간이 채 못 되는 점(79%)도 속 깊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시간이 주어져도 가족 여가 시간의 대부분은 'TV 시청'(40%)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각자 따로 노는 가족도 14%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다면 화목한 가정을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일까?

삼성화재 임직원들은 '가족의 건강(29%)'과 '서로에 대한 관심과 대화(29%)'를 우선 꼽았다. '경제적인 여유'(25%, 2위)도 무시할 수 없는 요건으로 꼽혔다. 그 외 '일상의 소소한 기쁨'(9%)과 '인내'(3%), '신뢰와 의리'(2%), '사생활 존중'(2%) 등을 중요하게 보는 의견도 있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