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에 따르면 지난 2008년 9월 금융위기 이후 서울 재건축 아파트 시가총액이 83조8926억 원에서 75조2574억 원으로 8조1352억 원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빠진 곳은 강남구 대치동 은마 아파트로 4조5574억 원에서 3조6700억 원으로 8875억원이 빠졌다. 그 뒤를 이어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가 4조5198억 원에서 3조8978억 원으로 6220억 원이 사라졌고,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는 4조5,012억 원에서 3조9,765억 원으로 5,247억 원이 증발했다.
대표 중층 재건축 단지인 은마는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사업성을 담보할 수 없게 됐고 재건축 방식을 놓고 조합원간 의견 충돌이 생기면서 하락세가 이어졌다.
개포동 주공1단지는 소형비율확대로 서울시와 갈등을 빚으면서 정비구역지정 통과가 늦어지자 투자자들이 외면해 가격이 하락했다.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역시 재건축 계획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추진위와 조합원 간 심한 갈등을 겪었다. 또 서울시가 한강변 일대 재정비 사업에 대해 최고 층수를 35층으로 제한했던 것도 가격 하락에 영향을 줬다.
반면, 서초구 반포동 주공1단지는 4조8736억 원에서 5조2265억 원으로 3530억 원이 늘었고, 신반포(한신1차)는 1조1385억 원에서 1조4623억 원으로 3238억 원이 증가했다.
이밖에 신반포(한신3차)가 2068억 원, 한신2차가 688억 원, 경남이 566억 원, 한신4차가 337억 원, 한신6차가 252억 원, 대림이 159억 원 등 서초구 일대 재건축 단지들은 금융위기 이후 시가총액이 늘었다.
서초구 일대 재건축 단지들은 조합 및 조합원간 갈등이나 분쟁으로 인한 사업지연이 많지 않아 사업추진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는 편이다. 또한 고속버스터미널 리모델링 및 올림픽대로 지하화 등 개발계획이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로 투자수요가 위축되면서 강남 재건축 단지들은 줄 곧 하락세를 보여 왔다.
그러나 올 초부터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으로 차츰 상승 움직임을 보이더니 지난 4.1대책이 발표된 뒤로 회복 분위기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줄어든 대치동 은마를 비롯해 개포동 주공1단지,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등은 단지 전체가 양도세 감면 대상에 해당돼 시세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