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시형)에 따르면 지난해 'SOS생명의전화기'가 설치된 마포대교, 한남대교 등 한강다리 5곳에서 자살생각을 버리고 삶의 터전으로 돌아간 사람이 163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S생명의전화기'는 자살시도자의 마음을 돌리도록 전화통화로 유도하거나 자살시도 광경을 목격한 시민이 신속하게 119에 신고할 수 있는 긴급전화기다.
특히 수화기를 들고 버튼을 누르면 즉시 내담자의 위치가 파악되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다.
지난 1년간 한강교량에 설치된 'SOS생명의전화기' 상담현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총 상담전화의(163건)의 72%(118건)가 마포대교에서 걸려왔고, 그 뒤를 이어 한강대교 25건, 한남대교 11건, 원효대교 9건 순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재단 정봉은 상무는 "넓고 쾌적한 보행로가 있고 접근성이 높은 마포대교와 한강대교의 전화 이용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또 전체 상담의 58%(95건)의 상담이 저녁 6시부터 자정사이에 이루어졌다. 자살상담 유형별로는 진로문제 상담이 전체의 24%로 가장 많았고, 남성의 이용률(62.6%)이 여성(37.4%)보다 두 배나 높았다.
한국생명의전화 나선영 국장은 "대부분의 상담전화가 야간에 걸려온 것은 내담자들이 사람들의 시선을 부담스러워 하기 때문이다"며 "특히 수능 이후에 진로문제를 고민하는 청소년들의 전화가 많았다."고 말했다. 또 "주변 사람에게 속내를 털어놓지 않는 남성의 특성이 익명이 보장된 SOS생명의전화기의 남성 이용률에 반영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생명보험재단은 한국생명의전화,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와 함께 2011년부터 한남대교를 시작으로 마포대교, 한강대교, 원효대교, 서강대교 등 한강교량 및 광안대교, 소양1교 등 전국 자살다발지에 'SOS생명의전화기'를 설치해 운용 중이다.
생명보험재단 이시형 이사장은 "'SOS생명의전화기'가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사람들의 생명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며 "재단은 앞으로도 'SOS생명의전화기'를 투신사고가 많은 한강교량 및 전국 자살다발지에 확대 설치해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