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불교통카드의 확장세가 거세다. 티-머니, 이비카드 등 선불카드사들은 연간 6조6000억원의 시장으로 키웠다. 문제는 규모는 커졌는데, 서비스 개선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선불카드를 분실해 신고해도 여전히 1~2일 동안 결제가 이뤄진다. 물론 일부 교통카드는 하루면 정지되는 카드 시스템을 최근 갖췄지만 편의점 등 유통점에서 사용할 때는 대책이 없다.
3일 티-머니를 발행하고 있는 한국스마트카드에 따르면 선불교통카드를 분실해 신고해도 바로 사용정지가 되지 않아 소비자 손실이 나고 있다. 카드 단위에서 정지를 해도 이를 각 유통망에 전달하는 프로그램의 변경까지에 최대 2일 정도 시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 회사 정현규 과장은 "내년 6월 경에는 바뀔 것"이라며 "(카드)사용 및 분실제어를 준 실시간으로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수도권 교통카드 사업자인 이비카드도 마찬가지다. 이비카드 관계자는 "고객이 분실하면 예전에는 환불 조치가 없었는데, 현재는 빅토큰 카드를 냈다. 환불은 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현 시점에서는 유통카드는 분실하면 환급받을 수 없다. 개발 중에 있다. 연내 출시는 어렵지만 최대한 일정을 앞당기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기준 교통카드는 연간 1억장 발급에 거래 금액은 하루 68억원, 연간 6조6000억원이 사용되고 있고, 운송수단 별로 보면 버스 3조2000억. 철도 2조2000억, 택시 1조4000억으로 규모가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다.
한편 교통카드 관련 서울시는 최근 제2기 교통체제 시스템구축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내년까지 교통카드 시스템 구축에서 경쟁체제를 갖춰 분실 및 도난시 전액 실시간 확인해 환불하는 것과, 모바일로 서비스 확대할 것, 다중상품탑재 교통카드 발급할 것 등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과 지방 사업자의 시스템이 조금 다르다"며 "서울시가 먼저 하고, 지방은 조금 늦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