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용산'사이즈 줄여 심폐소생?...코레일 "아직 파산 아냐"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진 용산국제업무개발사업의 30개 출자사들이 초고층빌딩의 층수를 낮추는 등 사업계획 수정안 논의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서부이촌동 주민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14일 시행사인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는 15일 오전 10시 이사회를 열어 사업계획 변경안과 정상화 방안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출자사들을 전원 소집해 사업계획 변경안을 제안할 방침이다. 변경안의 방향은 층수 축소 등을 통해 사업성을 대폭 강화하자는 쪽으로 잡혔다. 111층 랜드마크 빌딩 등 초고층 빌딩의 층수를 80층 이하로 대폭 낮춰 건축비를 절감하고 과잉공급 상태인 오피스와 상업시설 비중을 낮추는 대신 중소형 아파트를 늘리 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내일 이사회와 민간출자사들 회의에선 자산관리위탁회사인 용산역세권개발 경영진에 부도 상황에 놓인 데 따른 책임을 묻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코레일은 채무불이행 상태인 용산개발 사업이 아직 파산 절차에 들어간 게 아닌 만큼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2조4000억원 규모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과 자산유동화증권 원리금을 갚고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를 돌려받아 용산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땅은 우리 소유인 만큼 철도공사법에 따라 직접 역세권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박원순 서울시장은 "용산사업 주민피해 최소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무엇보다 주민들이 5∼6년 재산권 행사도 못 하고 어려운데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윤창중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 중 "용산 개발과 관련, 국토해양부가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업 무산에 따른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은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자 국토해양부 등 관계 부처에서도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 측도 사업이 정상화 후 주민들에 대한 보상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겠다고 거들었다. 코레일 관계자는 "용산개발 사업이 정상화하면 서부이촌동 주민 보상을 가장 먼저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