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 조사에 따르면 3월 1주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1%, 전셋값 변동률 0.01%로 조사됐다.
서울은 새 정부가 출범하고 일부 소형 급매물과 강남지역 재건축 아파트들이 거래되면서 전반적인 부동산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세시장은 지난주와 비슷한 분위기를 보였다. 전세 수요가 다소 증가했지만 그 동안 전셋값이 워낙 크게 올랐던 터라 변동률은 소폭 상승에 그쳤다.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1%로 오름세를 보였다. 강동구(0.10%), 강남구(0.08%), 송파구(0.04%)는 올랐고 강서구(-0.12%), 금천구(-0.08%), 중구(-0.07%), 강북구(-0.05%), 영등포구(-0.04%), 서초구(-0.04%), 광진구(-0.03%) 등은 내렸다.
강동구는 재건축 아파트가 상승하면서 전반적인 상승세를 밀어 올렸다.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 52㎡형은 500만원 오른 4억6750만~4억8500만원이고 둔촌동 둔촌주공4단지 113㎡형은 1000만원 오른 7억2500만~7억7000만원이다.
금천구는 문의가 증가하고 소형이나 급매물 위주로 한 두건씩 거래됐다. 그러나 매수세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모습은 아니었다. 시흥동 무지개 60㎡형은 500만원 내린 1억8000만~1억9500만원이다.
광진구도 매수문의가 다소 늘었다. 새 정부가 출범하고 부동산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그러나 아직 적극적으로 거래되는 편은 아니라 하락세는 여전했다.
자양동 우성1차 99㎡형은 1000만원 내린 4억1000만~4억6000만원이고 현대6차 141㎡형은 1000만원 내린 5억9000만~7억3000만원이다.
서울 전셋값 변동률은 0.01%. 광진구(0.10%), 강서구(0.06%), 성동구(0.06%), 영등포구(0.04%), 송파구(0.03%), 구로구(0.03%), 금천구(0.03%), 중구(0.02%), 강남구(0.02%) 순으로 올랐고 서초구(-0.03%)만 2주 연속 하락했다.
강서구는 중소형 주택형 물건이 매우 부족해 전셋값이 올랐다. 등촌동 서광등촌마을 81㎡형은 500만원 오른 2억500만~2억2000만원이고 우성 92㎡형은 1000만원 오른 1억8000만~1억9500만원이다.
영등포구도 전세 수요가 크게 증가하진 않았지만 소형 주택형 위주로 물건이 많지 않아 거래 자체가 어렵다.
도림동 동아에코빌 108㎡형은 1000만원 오른 2억1000만~2억4000만원이고 양평동2가 삼성래미안 82㎡형은 1000만원 오른 1억9000만~2억1000만원선.
구로구는 전세 수요는 있는 편이지만 물건 공급이 전혀 안되자 전셋값이 오르고 있다. 고척동 한일유앤아이 102㎡형은 500만원 오른 2억~2억2000만원이고 신도림동 신도림 대림2차 126㎡형은 500만원 오른 2억9000만~3억15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