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포항 북구가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서울 용산구였다. 용산이 미래 개발가치가 높기때문이다.
6일 한국감정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으로 전국 263개 시군구 가운데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포항 북구로 77.07%에 달했다.
뒤이어 부산 북구(75.24%), 대구 달서구(75.23%), 울산 동구(74.95%), 대구 광산구(74.42%), 광주 서구(73.04%), 광주 동구(72.72%), 부산 서구(72.63%) 순이었다.
또 포항 남구(71.94%), 광주 북구(71.13%), 울산 북구(71.04%), 대구 중구(70.53%), 부산 사상구(70.43%), 경남 양산시(70.35%), 전주 완산구(70.25%) 등이 70%를 넘었다.
일반적으로 교통, 편의시설, 학교 등 주변 인프라 시설이 잘 갖춰진 지역의 전세가비율이 높은 편이다. 또 투기적 수요가 적어 매매가격이 높게 형성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전세가비율이 높을 수 있다.
반면 전국에서 전세가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서울 용산구로 37.69%에 그쳤다. 다음으로 경북 영주시(39.15%), 충남 홍성군(40.48%), 전북 김제시(42.16%), 경기 여주군(42.99%), 충남 예산군(44.02%) 순으로 이어졌다.
용산구는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인 곳으로 국제업무지구 조성, 용산기지 이전 등의 미래 개발가치에 대한 투자수요가 많다. 이 때문에 매매가격이 높아 전세가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전세가격은 주변 인프라가 잘 조성되거나 새 아파트, 소형평수가 많을수록 높다"며 "수도권에서 군포시의 전세가 비율이 높은 것은 일산, 분당보다 소형평수가 많고 투기수요가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