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황당한 외제차 부품값 '거품' 뺀다...보험료 인상 주범 '개선'

고급 외제차가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시도해도 대부분의 운전자는 '어쩔 수 없이' 양보하는 경우가 많다. 접촉사고가 나면 국산차에 비해 몇 배나 많은 수리비용이 청구되기 때문이다. 보험처리시 보험료 할증에 대한 걱정만 커진다. 외제차는 부품 수급이 불투명해 수리비용이 과다하게 책정되는 탓이다.

정부가 손해보험업계와 함께 외제차 부품 가격 투명화에 나선다. 외제차 부품 가격을 정상화시켜 손보사의 손해율을 개선하게 되면 보험료 인상요인도 줄어든다고 본 것이다.

25일 금융위원회와 손보업계가 보험료를 올리지 않으면서 경영난을 헤쳐나가기 위한 '자동차보험 경영안정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책의 핵심은 손해율 개선이다. 시급한 사안으로 외제차 부품 가격 투명화와 유통구조 개선이 꼽혔다.

지난해 외제차는 전년 대비 24.6% 증가한 13만858대가 팔리며 처음으로 국내 승용 자동차 시장 점유율 10%를 기록하는 등 급증세다. 많이 팔리고 있지만 과도한 부품비는 요지부동이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외제차 부품비는 국산차보다 6배 비싸다. 공임도 5.3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외제차 수리비가 보험료 인상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유다. 또 보험가입 기준으로 보면 외제차는 등록대수 기준으로는 전체 승용차의 4%에 불과하지만, 지급된 보험금의 비중은 12%나 된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외제차가) 눈에 보이는 신차 가격을 낮추면서 딜러 마진이 줄어드니 서비스센터를 통해 부품 값과 공임비 등으로 메운다는 얘기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라고 말했다. 결국 부품이나 공임비가 올라가면 보험료가 인상될 수밖에 없고, 작은 접촉사고에도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수리비용을 내야하는 보험소비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손보업계 관계자는 "2010년 기준 평균수리비를 보면 국산차가 88만원인 반면 외제차는 292만원이나 됐다"며 "수입차의 과도한 수리비 문제가 보험료 인상을 부추기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도 외제차 업계의 '제멋대로 가격 매기기'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 BMW코리아·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한국토요타 등 4개 수입사 불공정행위에 대해 현장조사에 나선 것이다. 부품 가격과 공임비 등의 합리화가 이뤄질 지 주목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