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로 지난해 가계 이자부담 역시 사상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소득층의 이자부담은 되레 감소해 양극화의 심화를 보여줬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이자비용은 9만5387원으로, 전년보다 8.6% 증가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한 가구가 지난해 평균 114만4644원을 이자로 냈다.
통계청의 이자비용은 주택을 사기 위한 대출이나 가계 운영 등을 위해 빌린 돈에 대한 비용을 뜻한다. 이 때문에 사업 목적을 비롯한 기타 대출까지 포함하면 실제 가계의 이자비용은 이보다 더 클 것으로 보인다.
가구의 전체 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34%로, 전국 단위 조사를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해 가구 소득의 증가율(6.1%)이 이자비용 상승률(8.6%)에 못 미쳐서다.
가계의 이자부담은 2003~2007년 1.65% 내외를 유지하다가 2008년 1.92%로 뛰어오른 뒤 2009년 1.95%, 2010년 2.14%, 2011년 2.29%로 계속 커지고 있다.
하지만 소득분위별로 이자부담은 달랐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중은 2.06%로 전 계층 가운데 가장 낮은 반면 4분위는 2.56%, 3분위는 2.53%로 중상위 소득계층의 이자부담이 높았다. 1분위는 2.38%, 2분위는 2.48%였다.
전년과 비교해 1~4분위 모두 이자부담이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2분위(2.17%→2.48%)와 4분위(2.38%→2.58%)의 이자부담이 크게 늘었다. 이들 계층이 이자비용이 지난해 각각 21.4%, 14.1%나 급증해서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고소득층의 대출 이유는 대부분 부동산인데, 지난해에는 부동산시장의 침체로 대출이 크게 늘어날 이유가 없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