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 침체와 가격약세로 내 집 마련을 미루는 수요자가 많은 가운데 현재의 전세금 보증금을 이용해 추가비용 부담이 낮은 중소형 주택을 살펴 본다면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엿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셋값 추가 상승과 집값 하락이 겹치면 전세비중이 높은 아파트의 경우 추가 비용 부담이 낮아 내 집 마련을 고려 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전셋집에 살고 있는 무주택자가 내 집 마련을 하려면 얼마의 자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할까?
29일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전용면적84㎡형의 전국 아파트를 기준으로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는 추가비용을 살펴본 결과 평균 1억 756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1억 5008만원 ▲지방 5831만원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와 비교해 볼 때 전세보증금에 더 보태야 하는 추가비용 부담이 전국 평균 4015만원 낮아졌다. 특히 수도권의 내 집 마련 문턱이 낮아졌다. 2008년 2억2702만원에서 2013년 1월 현재 1억 5008만원으로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자금이 줄었다.
전셋값이 상승하기도 했지만 매매가격이 하락하면서 높기만 했던 내 집 마련의 문턱이 낮아졌고 동일한 금액에서 선택 할 수 있는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늘었다. 하지만 여전히 지방에 비해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는 비용부담은 만만치 않았다.
반면 지방의 경우 전셋값과 함께 매매가격이 동반 상승하긴 했지만 수도권에 비해 전세입자의 매수부담이 높지 않아 매매 전환이 수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내 집 마련을 위한 추가비용은 차이를 보였다. 전세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매매가격이 저렴한 ▲지방은 평균 5831만원의 추가비용만 있으면 지금 살고 있는 전셋집이 내 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1억 5008만원을 보태야 하는 것으로 조사돼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는 비용부담이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지방에 비해 높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전용 84㎡형의 지방 아파트는 매매 27%, 전세 44%의 변동률을 보이며 모두 오름세를 나타냈다. 반면 수도권 아파트는 매매가격이 6%하락했고 전세가격은 41%상승하면서 현재 전셋집에 거주하는 세입자가 내 집 마련을 위해 전세보증금에 보태야 하는 비용 부담이 다소 낮아졌다.
수도권은 전셋값 상승과 매매가격 하락 영향으로 2008년 2억 2702만원에서 2013년 1월 현재 1억5008만원으로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위한 비용 부담이 낮아졌다. 지방은 2008년의 추가비용 5554만원에서 2013년 5831만원으로 매매에서 전세로 갈아타기 위해 지불 해야 하는 비용이 소폭 늘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여전히 지방아파트의 매매가격이 낮아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는 비용 부담이 수도권에 비해 크지 않았다. 김은선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선임연구원은 "지방의 평균 매매가격은 서울 전세가격의 절반수준으로 평균 매매, 전세 가격 수준의 편차가 큰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전환 부담이 줄었다곤 하지만 여전히 지방 아파트의 전환비용 격차는 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