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시대가 고착화 될 조짐이다. 서민들의 자구책 마련이 필요해졌다. 지난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3%) 이후 3년만에 최저치로 대외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된 데 따른 결과다. 다만 올 경제성장률은 지난해보다 개선될 것으로 한국은행은 예측했다.
24일 한은이 발표한 '2012년 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2.0% 증가했다. 2011년 성장률(3.6%)를 크게 밑돈 수준으로, 2009년(0.3%) 이후 최저다. 한은이 당초 전망치(2.4%)보다도 0.4%포인트 낮은 수치다.
김영배 경영통계국 국장은 "예상보다 유럽 재정위기의 개선 속도가 늦춰진 것으로 나왔다"며 "대외적인 요건 탓에 당초 기대치를 하회했다"고 언급했다. 수출이 3.7% 성장했지만 전년도(9.5%)보다 큰 폭으로 성장 폭이 축소됐고, 민간소비증가율도 2011년 2.3%에서 지난해 1.8%로 0.5%포인트 감소했다. 설비투자증가율(3.7%→-1.8%)은 마이너스 전환했고, 건설투자증가율(-5.0%→-1.5%) 감소 폭이 줄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였다.
정부 소비는 같은 기간 2.1%에서 3.6%로 늘었다. 3년 만에 최대치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내수와 수출 수요 감소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다. 지난해 2.2%로 전년(7.2%)보다 5.0%포인트 낮아졌다. 서비스업(2.6%→2.4%)은 전년도와 비슷한 성장세를 보였고, 전기가스및수도업은 2.9%로 전년과 같았다.
경제활동별로는 농림어업이 축산업 증가로 5.7% 증가하고, 서비스업이 도소매음식·숙박·운수보관 등의 증가에 힘입어 0.5% 성장했다. 반면 건설업이 비주거용 건물건설 부진으로 인해 0.7% 감소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2.8%로 내다봤다. 종전의 전망치(3.2%)보다 0.4%포인트나 낮지만, 작년보다 나아진 수치다. 김 국장은 "작년에는 세계경제가 안개로 뒤덮인 미포장도로에 들어왔다고 한다면, 지금은 안개는 좀 걷혔다. 올해는 웅덩이나 돌뿌리 등도 비껴갈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