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도권 아파트 거래시장은 세밑 한파와 취득세 감면 종료로 꽁꽁얼었다. 취득세 감면 종료는 사실상 취득세가 2배 오른 셈이어서 아파트가격 하락을 부채질 했다.
6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강동구 둔촌동 둔촌푸르지오 공급면적 138㎡의 호가는 취득세 감면 영향력이 막바지였던 작년 11월 말 8억2000만원에서 올해초 7억6000만원으로 한달만에 6000만원(7.3%)이 내렸다.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공급면적 128㎡는 11월 말 12억6500만원에서 올해 초 12억으로, 분당신도시 서현동 시범현대 261㎡는 10억2500만원에서 9억8000만원으로 각각 5.1%와 4.4% 떨어졌다.
작년 말까지 9억원 이하 1주택은 2%에서 1%로, 다주택자나 9억원 초과·12억원 이하는 4%에서 2%로, 12억원 초과는 4%에서 3%로 각각 인하됐던 취득세가 올해부터 원상 복귀되면서 매수세가 썰물처럼 빠진 것이다.
부동산114는 1월 첫째주 서울의 아파트값이 0.02% 하락하는 등 2011년 2월 이후 22개월째 내리막길을 치닫고 있다고 전했다. 한파와 폭설로 거래시장이 한산한 가운데 서울,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0.02%) ▼신도시(-0.01%) ▼수도권(-0.01) 모두 내렸다는 것.
거래 동결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시장의 불확실성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취득세 감면 연장을 약속했고,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도 이를 추진하기로 해 1월 임시국회에서 관련법 개정안을 논의할 예정이라 '사지 말고 지켜보자'는 관망세를 부추기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거래의 불씨를 완전히 꺼트리면 감면 혜택을 재개해도 되살리기 어렵다"면서 "인수위에서 취득세 문제를 우선 검토해 소급 적용 여부를 확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