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로 내렸다. 지난 9월 예산안 발표 때 전망한 4%에서 1%포인트 낮췄다. 경제협력개발기구(3.1%)나 국제통화기금(3.6%), 한국은행(3.2%) 전망치보다 더 낮은 수치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도 경제운용에서 위기관리에 중점을 둘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기획재정부는 '2013년 경제전망'발표에서 대외 불확실성에 따른 글로벌 경기의 약한 회복에 따라 상반기까지 성장률이 완만한 수준에 그치고, 하반기 이후 점차 개선되면서 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로 인해 내년 세수가 약 2조원 줄어들 것으로 관측했다.
최상목 경제정책국장은 "내년 하반기 이후 점차 개선되겠지만 이를 본격적 회복세로 보기에는 여러 하방위험이 너무 크다"며 "3% 성장 전망은 잠재성장률보다 분명히 아래다"고 말했다.
내년 민간소비는 2.7%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고용개선, 임금상승에 따른 실질구매력 증대, 교역조건 개선 등으로 소비 증가세가 확대되겠지만 주택시장 부진, 가계부채 부담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게 재정부의 인식이다.
설비투자는 3.5%, 건설투자는 2%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고, 고용률은 올해보다. 0.1%포인트 개선된 59.5%, 실업률은 1%포인트 떨어진 3.2%로 예상됐다.
재정부는 "경기의 완만한 회복, 정부 일자리 사업규모 확대 등으로 고용개선세가 지속되겠지만 증가폭은 다소 축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보다 높은 2.7%로 전망됐다.
또 내년 수출입 증가율은 각각 4.3%, 4.6%에 그치면서 경상수지는 올해 전망치(420억달러 흑자)보다 100억달러 이상 줄어든 300억달러 흑자에 머물 것으로 봤다.
최 국장은 "내년 1분기를 중심으로 하방위험이 크다"며 "저성장 가능성과 하방위험, 대내외 위험요인을 철저하게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