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취득세 감면 효과 사실상 '끝'…소요기간 고려하면 영향력 '0'

취득세 감면 효과 사실상 '끝'…소요기간 고려하면 영향력 '0'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던 취득세 감면 종료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주택매매 시 최소 1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취득세 감면에 따른 거래는 이미 어려워졌다는 현장 반응이 나오고 있다. 또 계절적인 비수기까지 겹치면서 매매시장은 더욱 힘든 상황을 맞이할 전망이다.

전세시장은 이사수요가 점차 줄면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서울은 0.05%를 기록하며 아직까지 강세를 보였지만 신도시와 경기는 금주 들어 각각 -0.01% 하락한 것이 눈에 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11월 23일부터 11월 29일까지 아파트 값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 매매가 변동률은 -0.03%, 전세가 변동률은 0.02%를 기록했다. 지방 5대광역시 매매가 변동률은 보합, 전세가 변동률은 0.01%를 나타냈다.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4%다. 양천구(-0.23%)가 가장 많이 떨어졌고 노원구?마포구?중구(-0.10%), 서초구(-0.08%), 강남구(-0.05%), 강동구?영등포구(-0.03%) 등이 뒤를 이었다.

양천구는 매도·매수자간 희망가격차가 커 거래가 쉽지 않다. 중소형 급매는 조금씩 소진되고 있지만 중대형은 문의도 없다. 신정동 신시가지14단지 125㎡가 2000만원 내린 8억~8억5000만원, 신시가지12단지(저층) 66㎡가 1750만원 내린 3억6000만~4억원이다.

노원구는 매수세가 없어 거래가 안 되면서 집주인들이 가격을 내렸다. 공릉동 공릉삼익 138㎡가 1500만원 하락한 3억9000만~4억3000만원, 중계동 주공5단지 92㎡가 1000만원 하락한 3억5000만~4억원이다.

서울 외 수도권에서는 신도시가 -0.01%, 경기도 -0.03%, 인천 -0.01%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과천시(-0.20%), 광명시(-0.17%), 안양시(-0.11%), 의정부시(-0.09%), 시흥시(-0.06%), 평촌신도시(-0.05%), 수원시·인천 부평구(-0.03%), 의왕시·분당신도시·남양주시(-0.02%) 등이 내렸다.

지방 매매가 변동률은 대구·경북(0.01%), 세종시(0.04%)가 상승, 대전·부산(-0.01%)이 내렸으며, 나머지는 보합세다.

서울 전세가 변동률은 0.05%를 기록했다. 강남구(0.23%)가 가장 많이 올랐고, 서초구·마포구·용산구(0.10%), 동대문구(0.08%), 동작구(0.04%), 강북구?노원구(0.03%), 양천구·중구·강서구(0.02%) 등이 상승했다.

강남구는 수능 이후 방학동안 이사하려는 학군수요가 증가했지만 전세물건은 여전히 귀해 가격이 오름세다. 아울러 서초구 재건축 이주수요에 따른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도곡동 도곡렉슬 109B㎡가 2500만원 오른 6억5000만~6억8000만원, 압구정동 구현대10차 115㎡가 3500만원 오른 3억5000만~4억원이다.

서초구는 재건축 이주수요와 재계약 증가로 인해 전세물건이 부족해지자 집주인들이 호가를 큰 폭으로 올리고 있다. 잠원동 한강 92㎡가 3000만원 오른 3억~3억5000만원, 방배동 롯데캐슬헤론 195㎡가 2500만원 오른 6억7000만~7억원이다.

서울 외 수도권에서는 경기와 신도시가 각각 -0.01%, 인천 0.02%로 조사됐다. 지방 전세가 변동률은 대구(0.02%), 대전(0.01%), 경북(0.02%)이 올랐으며, 기타 지역은 보합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