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대통령'을 표방하면서 출범한 17대 이명박 정부가 집권 막바지에 이르렀다. 27일 부동산써브(www.serve.co.kr)가 MB정부의 부동산 매매 시장을 출범 이후 현재까지 살펴봤다.
지난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 출범 후 현재까지 매매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4.39%, 경기 -7.35%, 신도시 -14.26%, 인천 3.43% 등 수도권 대부분의 지역이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며 침체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지방 5대 광역시 31.42%, 기타 시·도 33.99% 등 30%가 넘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해 수도권과 지방간 양극화가 뚜렷이 나타났다.
출범 초기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규제 완화'에 주력해왔던 MB정부는 종합부동산세 기준 완화·투기과열지구해제·재건축 관련 규제 완화·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투기지역 해제 등 숨가쁘게 대책을 내놓았지만 오히려 시장 불확실성만 커지며 침체의 골이 깊어졌다.
지방의 경우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실수요 회복과 세종시 및 평창 동계 올림픽 개발유치·혁신 도시 등 지역별 개발 호재가 맞물려 매매값이 크게 상승했다.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되면서 불확실성 증대, 경제성장 둔화 등이 겹쳐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2009년 하반기 반짝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2010년 이후 유럽발 경제 위기와 고물가 등으로 국내 경기 위축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상대적으로 금융위기 여파가 적었던 지방 시장은 적체된 미분양(2008년 1월~ 2009년 10월, 지방 미분양 물량 월 10만호 이상)이 점차 해소된 후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거래가 회복, 2011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부산·경남 등 청약 돌풍으로 이어지면서 공급이 많아지자 올해 들어서는 상승률이 크게 둔화된 모습이다.
서울 매매시장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6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와 재건축 단지들이 밀집된 강남구(-16.44%), 강동구(-13.23%), 송파구(-12.89%), 양천구(-9.92%), 서초구(-3.68%) 순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중랑구(16.13%), 서대문구(9.56%), 종로구(9.31%) 등은 소형 주택에 실수요 및 임대 투자 수요가 꾸준해 상승세를 보였다.
경기는 과천·용인 등 버블세븐과 입주물량이 많은 김포 한강·파주 운정 등 신도시 지역이 하락세를 주도했다.
정부청사 이전과 보금자리주택 여파 및 재건축 지연 문제 등이 맞물린 과천시가 -20.49%로 낙폭이 가장 컸고 용인시(-18.19%), 성남시(-17.07%), 김포시(-16.16%), 파주시(-15.36%) 등은 15%~18% 떨어졌다.
지방에서는 전북이 전북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기대감으로 57.44% 올라 전국에서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됐던 전남 역시 48.82% 상승해 전라도권 매매시장이 강세를 보였다.
이어 부산이 거가대교(2010년12월)·부산~김해 간 경전철(2011년9월) 개통 등 교통호재로 47.76%, 경남은 통합 창원시 출범 호재로 인한 기대심리 증가로 유입되는 수요가 늘면서 46.72%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