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치혐오에 기댄 포퓰리즘이다' '특권을 내려놓자는 게 왜 포퓰리즘이냐'
국회의원 수 축소, 중앙당 폐지, 정당 국고보조금 삭감 등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의 '10.23 정치 쇄신안'을 둘러싼 논쟁이 대선판을 달구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물론 학계, 진보성향 시민단체까지 안 후보의 쇄신안에 대해 '정치개혁 본질과는 거리가 먼 포퓰리즘'이라며 쓴 소리 일색이다. 하지만 안 후보는 한 치도 물러설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안 후보발(發) 쇄신 논쟁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안 후보의 쇄신안을 '국민의 정치 불신을 이용한 선동정치'라고 비난했다. 단일화 상대인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도 "좀 더 깊은 고민이 있으면 좋겠다"며 우회적으로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문 후보는 28일에도 "국민이 정치를 불신한다고 정치 자체를 위축시켜선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치학계는 '정치개혁 본질과는 거리가 멀고 포퓰리즘 성격이 짙다'고 우려했다. 참여연대도 "의원 정원 축소는 의회정치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와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안 후보는 물러서지 않을 태세다. 지난 주말 경상대 강연에서 "특권을 내려놓자는 것이 왜 포퓰리즘인가"라며 정치권, 학계, 시민단체의 비난을 정면으로 되받아쳤다. 민감한 사안에는 에둘러 표현하던 평소의 태도와 달리 작심한 듯 강한 어조였다. '국민의 요구'를 명분으로 한 치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셈이다. 아예 한 발 더 나아갔다. "19대 국회가 16% 정도 세비를 인상했는데, 그래서 정치를 더 잘했느냐"며 의원 불체포특권, 연금 및 세비 인상 등에 대해 작정하고 직격탄을 날렸다.
안 후보가 이처럼 정면 돌파를 택한 것은 다분히 의도된 전략이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대선 과정을 기득권 세력과 새로운 세력 간의 대결 구도로 몰아가겠다는 계산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쇄신안 반대를 기득권 세력의 반발로 몰아붙이고 정치 쇄신 논의를 자신이 주도해 나가면서 국민 지지의 폭을 넓혀가려는, '의도한 기득권 때리기' 라는 얘기다.
안 후보가 "(기존 정치권이) 강력히 반대할 걸 알았다"면서도 물러설 뜻이 없음을 강조한 게 그 방증이다. 안 후보 측이 "국민 반응은 기성 정치권에 '할 말은 했다'는 응원이며 비판적 분위기가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논쟁이 뜨거워질수록 안 후보에게 득이 되면 됐지 손해날 건 없다는 자신감이 배어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