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 등 대선 유력 주자에 대한 여론조사 지지도가 들쭉날쭉하다. 어느 후보의 지지도가 가장 높은가를 보여주는 여론조사 지표가 같은 시기에 실시했는데도 조사 기관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 결과적으로 판세를 가늠하는데 도움을 주기는커녕 되레 유권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는 셈이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걸까.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조사방식의 차이를 그 이유로 든다. 휴대전화 비중이 크면 대체로 진보 성향이, 일반전화 비중이 크면 보수 성향이 높게 나타난다. 전화면접이냐, 자동응답전화(ARS)로 하느냐도 변수로 작용한다. 선호도냐 지지도냐 등 설문 내용에 따라서도 결과는 달라진다. 특히 채 20%도 안 되는 낮은 응답률 뒤에 가려진 '숨은표'라는 변수를 헤아리기는 더욱 어렵다.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 같은 한계에도 여론조사 결과가 유권자들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후보 간 지지율 편차가 지나치게 높거나 지지율 차이가 허용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는 사실 별 의미가 없는 단순 '숫자 비교치'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유권자들은 이 수치를 후보 간의 우열로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높다. 안 후보 측의 장하성 고려대 교수가 야권 후보 단일화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거론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비롯된 공세다.
장 교수는 최근 "안 후보는 박 후보와의 (양자대결) 여론조사에서 항시 (문 후보보다) 더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며 "(후보 단일화는) 국민의 뜻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지지율 수치를 후보 간의 우열로 보고 열세인 문 후보 측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문 후보 측은 여론조사의 한계를 지적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목희 기획본부장은 어제 "민주당 후보는 100만 명이 참여해 만들었는데 (여론조사를 통한) 3000여명의 의견만으로 단일화를 결정해선 안 된다"고 했다. 역으로 표본 수가 적은 여론조사보다는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국민경선 방식을 제안했다.
여론조사 결과가 꼭 민심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수치로 나타난 지지도가 반드시 객관적이고 정확한 것도 아니다. 특정시점의 여론조사 결과보다는 변화의 추이를 보는 게 중요하다. 즉 여러 조사기관 별로 나타나는 지지율의 편차에 주목하기보다는 한 기관의 지지율 변화의 흐름을 보는 게 더 정확한 판단 잣대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숨은표'를 제대로 짚어내는 게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