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후보 단일화를 둘러싼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 간의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문 후보 측은 '무소속 대통령 불가론'을 앞세워 '민주당 입당론'과 '정치혁신위원회 공동 구성'을 잇따라 제안하는 등 안 후보 측을 압박하고 있다. 반면 안 후보는 '국민후보론'으로 맞서며 단일화에는 일단 거리들 두고 있는 양상이다. 대선이 가까워 올수록 양측의 기싸움은 더욱 격화할 전망이다.
문 후보 측은 어제 안 후보에게 조국 서울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치혁신위 공동 구성을 공식 제안했다. 조 교수가 제안한 후보 단일화 3단계 방안(정치혁신위 공동구성→공동 정강정책 확립→세력관계 조율)이 '합리적이고 현실적 방안'이라며 이를 실천에 옮기자는 것이다. 전날 문 후보가 안 후보에게 제안한 '선(先) 민주당 입당→후(後) 단일화'에 이는 후속 공세다. 단일화 압박의 강도를 한층 높이는 모양새다.
하지만 안 후보 측은 단일화에 대해서는 여전히 말을 아끼고 있다. 안 후보 측은 단일화를 전제로 한 제안에는 어떤 답도 내놓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금은 "각자 정권교체와 새로운 변화를 위해 집중하고 노력할 때"라는 이유에서다. 단일화 논의 보다는 정치개혁이 먼저라는 기존 주장을 재확인함으로써 사실상 문 후보 측의 제안을 거부한 셈이다. 민주당의 잇단 제안은 주도권을 잡으려는 공세에 불과하다는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
문 후보가 이처럼 공세적 행보를 보이는 배경에는 최근의 여러 여론 지지도 조사 결과 안 후보에 비해 문 후보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점이 깔려있다. 캠프 내에 '단일화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이 충만해 있다고 한다. 안 후보 측이 단일화에 일정 거리를 두려는 것은 자칫 '단일화 프레임'에 갇힐 경우 지지세 확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아울러 본선 경쟁력은 안 후보가 앞선다는 계산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렇게 흐르자 두 후보의 단일화까지에는 큰 진통이 있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양측이 모두 승리를 자신할 경우 단일화 없이 둘 다 완주할 가능성도 있다는 섣부른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물론 아직은 국민의 '정권 교체' 바람을 외면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엔 어느 한 쪽이 양보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단일화 숙명론'이 대세인 것만은 분명하다. 단일화냐 아니냐, 한다면 누구로 할 것이냐, 종국엔 여론의 흐름에 기댈 수밖에 없을 것이다.
/ 현이윤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