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전세값 28% 오른 '5년'…강서·광진·마포구 등 껑충

MB정부 5년 동안 수도권 전세값이 평균 28%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부금자리 주택 정책이 주요인으로 분석됐다.

닥터아파트가 MB정부가 시작된 2008년 2월부터 2012년 9월 10일 현재까지 수도권 전세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평균 28.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서울이 28.23%로 가장 크게 올랐다. 경기(27.31%) 신도시(24.80%) 인천(18.29%) 순으로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25개구 자치구 가운데 강서구(38.1%) 광진구(34.56%) 마포구(33.62%) 중랑구(32.88%) 도봉구(30.80%) 동작구(30.41%) 등 13개구의 변동률이 서울 평균 상승률(28.23%)을 웃돌았다.

13개 구의 분포를 보면 강북권이 5곳(중랑구·도봉구·강북구·노원구·동대문구), 도심권(광진구·마포구·성동구) 및 강서권(강서구·동작구·구로구)이 각각 3곳 씩이다. 강남권은 강동구와 송파구 2곳에 불과했다. 즉 MB정부 5년 동안 강남권 보다는 비강남권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더 오른 것이다.

경기의 경우도 평균 상승률(27.31%) 이상 오른 곳은 오산시(48.13%) 화성시(44.87%) 하남시(39.37%) 안성시(39.10%) 용인시(37.97%) 남양주시(35.54%) 평택시(34.66%) 군포시(30.04%) 파주시(28.15%) 광명시(27.81%) 성남시(27.68%) 등 11곳이다.

신도시의 경우도 경부고속도로 인근에 위치한 동탄의 경우 지난 5년 동안 전세가 상승률이 무려 111.65%에 달했다. 변동률이 100% 이상 이라는 것은 전셋값이 2배 이상 올랐다는 것. 실제 2008년 동탄신도시 평균 전셋값은 311만원(3.3㎡당)에 불과했지만 2012년 현재는 659만원(3.3㎡당)이다.

인천의 경우 계양구(18.26%) 연수구(14.91%) 남구(9.15%)를 제외하고 남동구(22.06%) 서구(20.99%) 동구(20.01%) 중구(19.56%) 부평구(19.53%) 등은 인천 평균 상승률(18.29%)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보금자리 주택정책이 전세가 상승의 주요인으로 분석됐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정부가 발벗고 나서서 입지좋고 저렴한 가격에 주택을 공급한다고 한 이상 소비자 입장에서 서둘러 주택을 구입할 이유가 없어졌다. 전세수요가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 셈"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