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세대·연립주택의 자산가치가 급락하면서 경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이들 주택에 거주하는 저소득층의 가계부채 악화 우려도 덩달아 커졌다.
22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2011년 가계금융조사'를 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주택(실거주 기준) 평균 가격은 1억1569만원에서 1억1812만원으로 전년보다 2.1% 올랐다.
하지만 전국 연립·다세대 주택의 평균 가격은 2010년 평균 8196만원에서 2011년 6798만원으로 17.1% 크게 하락했다.
특히 수도권에서 가치 하락이 두드러졌다. 수도권의 연립·다세대 거주주택 가격은 2010년 평균 9435만원에서 2011년 7572만원으로 19.8%나 폭락했다.
반면 전국 아파트 평균 가격은 전년 1억5445만원보다 102만원(0.66%) 소폭 떨어진 1억5343만원을 기록했다. 단독주택은 소폭 올랐다.
올해도 상황은 나아질 기미가 없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2012년 상반기 연립주택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0.2% 오르는 데 그쳤다. 아파트(0.7%)와 전체 주택(0.6%)에 비하면 상승폭이 작다.
문제는 다세대·연립주택 가격이 하락할수록 저소득층 거주자의 대출상환 여력이 나빠진다는 점이다. 실제로 가계부채를 이기지 못해 연립·다세대 주택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달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대법원의 경매정보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수도권 경매시장에 나온 연립·다세대 주택 매물은 8261건으로 전년 상반기보다 54.7%나 급증했다. 연립·다세대주택 매각이 성사되는 비율도 2008년 52.4%에서 올해 상반기 32.0%까지 떨어졌다. 매각가도 2008년에는 감정가의 107.8%를 받았으나 올해는 72.7%에 그쳤다.
집을 팔아도 빚을 갚을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빚 부담이 크고 소득이 적은 저소득층은 한계 상황에 직면할 우려에 처했다.
연립·다세대 주택에 사는 가구의 담보대출 규모는 2919만원으로 거주 주택 평균 가격(6798만원)의 42.9%에 달한다. 아파트 거주자의 평균 담보대출이 아파트 평균가격의 24.9% 수준임을 고려하면 대출 부담이 크게 높다. 하지만 연립·다세대 주택에 사는 가구의 경상소득은 지난해 평균 3273만원으로 아파트에 사는 가구(5103만원)는 물론, 전체 가구 평균인 4012만원보다도 크게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