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 상권을 지키는 여관 목욕탕 이발소 미용실과 같은 자영업자 중에 가게문을 열고 매달 167만원도 벌지 못하는 경우가 수두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영업자 절반 이상이 빚을 지고 있으면서도 마땅한 타개책을 찾지 못한 채 "대책 없다"며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서울 등 10개 도시에 있는 숙박·목욕·이용·미용·피부미용·세탁업소 1760개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시행한 '공중위생수준제고를 위한 실태 조사 및 제도 개선 방안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보고서를 보면, 연 매출 2000만원(월 매출 167만원)이 되지 않는 업소의 비율은 이용업이 88.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세탁업(62.3%), 미용업(48.4%), 피부미용업(38.1%), 숙박업(29.2%), 목욕업(17.1%)의 순이었다.
이들 업소는 월세와 인건비, 운영비, 각종 세금을 감안하면 사실상 적자이거나 한계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업종의 평균 월세는 목욕업 814만원, 숙박업 603만원, 미용업·피부미용업 129만원, 세탁업 54만원, 이용업 37만원 수준이다.
경영난으로 인해 자영업자 절반 이상이 빚을 지고 있었다. 업종별로 부채가 있는 업소의 비율은 목욕업이 79.5%로 가장 높았다. 숙박업(73.2%), 피부미용업(64.6%), 미용업(59.5%), 세탁업(51.9%), 이용업(49.8%)도 대부분 50%를 웃돌았다. 업종별 부채 규모는 숙박업 8억9600만원, 목욕업 8억6600만원, 미용업 7200만원, 피부미용업 6300만원, 이용업 3900만원, 세탁업 3700만원이었다.
자영업자들은 미래도 암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더 어려워질 것(어려워질 것+매우 어려워질 것)"이라고 답한 업주들의 비율은 업종에 따라 무려 57.1~90.4%에 달했다. 목욕업(90.4%)이 가장 비관적이었고, 이용업(87.3%), 숙박업(75.6%), 세탁업(72.0%), 미용업(64.6%) 등도 우울한 전망이 절반을 훌쩍 넘었다.
앞으로 상황이 더 나빠지면 "가게 문을 닫겠다"는 업소도 8.0~21.2%에 달했다. 특히 세탁업(21.2%), 이용업(20.0%), 목욕업(17.5%)에서 폐업을 염두에 둔 업주가 많았다.
업주들은 경영상 애로사항(중복응답)으로 ▲과다한 동일 업종 창업 ▲시설·서비스의 개·보수 부담 ▲인건비 상승 ▲원재료 가격 인상 ▲점포 임차료 인상 ▲정부의 비현실적 규제·단속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