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수익을 목적으로 수도권에서 투자할 예정이라면 오피스텔 보다는 연립·다세대·단독에 투자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닥터아파트가 온나라 부동산통계에서 제공하는 월세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서울, 경기, 인천 모두 오피스텔 보다 연립·다세대·단독의 월세가격지수 변동률이 높았다.
2010년 6월과 2012년 7월의 지수를 비교한 결과 서울은 연립·다세대가 7.8%로 변동률이 가장 컸으며 이어 오피스텔 4.0%, 단독 1.8%, 아파트 1.5%순 이었다. 경기나 인천 역시 단독의 변동률이 각각 7.1%와 2.6%로 오피스텔(6.9%, 1.3%) 보다 높았다.
서울에서 연립·다세대의 변동률이 높은 현상은 강·남북 모두에서 나타났다. 강·남북 각각 8.7%와 6.9%. 반면 오피스텔은 3.9%와 4.3%에 그쳤다. 아파트에서는 강·남북에서 명함이 엇갈렸다. 강남 아파트 월세가격지수 변동률이 4.5%를 기록했지만 강북 아파트 변동률은 마이너스 1.8%를 기록했다.
여기서 강남은 한강이남 11개 자치구(강동 송파 강남 서초 동작 관악 금천 영등포 구로 양천 강서)며 강북은 한강이북 14개 자치구(광진 성동 중랑 동대문 노원 도봉 용산 중구 성북구 마포 종로 서대문 은평 마포)다.
경기와 인천에서는 또 상황이 다르다. 단독의 월세가격지수 변동률이 오피스텔을 앞지르고 있다. 경기의 경우 단독의 변동률은 7.1%. 반면 오피스텔은 6.9%를 나타냈다. 인천의 경우도 단독은 2.6%를 기록한데 반해 오피스텔은 1.3% 그쳤다.
오피스텔과 단독 모두 방 1개 규모에서 변동률이 가장 높았다. 각각 5.8%씩을 나타냈다. 아파트의 경우는 방1개(-2.5%) 규모 보다는 방3개(2.4%) 규모에서 변동률이 높았다.
리서치연구소 이영호 소장은 "지역별로 임대수익 극대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 것으로 보면 된다" 며 "최근 트렌드를 반영 하듯 방 1개, 원룸 구조에서 월세수익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지성기자 lazy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