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70m 칡줄다리기 · 조선 국장행렬 체험

27~29일 영월 '단종문화제'

봄햇살이 따스한 4월, 강원도 영월이 흥겹게 들썩인다.

영월을 대표하는 축제 '제46회 단종문화제'가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 동안 영월읍 장릉 및 동강둔치 일대에서 열린다. 올해는 '단종의 꿈'을 주제로 성대하게 펼쳐진다.

영월에서는 단종이 임금으로 복위된 1698년부터 군민들이 합심해 해마다 제향을 지내 그의 넋을 달래 왔다. 이같은 의식이 1967년 4월 문화행사인 '단종문화제'로 승화돼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연인, 친구는 물론 아이들과의 가족 여행으로도 좋은 기회다.

대한민국 대표 전통문화제로 자리잡은 '제46회 단종문화제'에서는 다양한 역사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첫째 날인 27일에는 전국 일반 및 학생 백일장과 미술대회가 장릉에서 펼쳐진다.

어르신 장기대회·민속예술경연대회·영월 음악인 공연 등 지역 문화공연와 함께 정순왕후선발대회, 전국한시백일장, 전국학생휘호대회, 게이트볼대회, 골프대회 등이 영월읍 일원에서 진행된다.

오후 6시 동강둔치에서는 개막식과 함께 축하 콘서트, 불꽃놀이가 차례로 이어지며 단종문화제의 시작을 화려하게 장식할 예정이다.

28일은 오전 9시 단종 원찰인 보덕사에서 '영산대제'를 시작으로, 10시에 장릉에서 단종제향과 관련한 의식을 거행한다. 헌다례, 제례악과 육일무를 거쳐 11시에 장릉 정자각에서 '단종제향(端宗祭享)'을 봉행한다.

단종제향은 숙종 24년(1698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315회 째를 맞이하는 유서 깊은 의식이다. 왕릉에 제향을 올리는 산릉제 형식으로 진행하는 전국 유일의 행사이기도 하다.

이날 오후 2시에는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영월 출신의 3충신을 추모하는 '3충신 추모제'를 충절사에서 지내며, 오후 4시에는 단종이 죽음을 맞이한 관풍헌에서 임금의 장례인 국장(國葬)에 앞서 영면에 들기를 기원하는 의식인 '견전의(遣奠儀)'를 행한다.

이밖에 학생씨름대회, 순흥초군청농악놀이, 무형문화재 제55호 줄타기 공연, 특집 콘서트 등 다양한 볼거리가 하루 종일 펼쳐진다.

관람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체육대회, 가장행렬, 표주박 편지 띄우기, 유등 띄우기 등 부대행사도 곳곳에서 열려 흥을 돋운다.

◆29일 하이라이트 일반인 참여 가능

마지막 날인 29일은 단종문화제의 하이라이트라 할 '조선시대 국장(國葬) 행렬'이 고증에 따라 완벽하게 재현될 예정이다.

오전 10시 영월읍 덕포리 소재 천하장사의 집을 출발해 동강대교를 건너 장릉에 이르는 총 2.5km의 구간을 1000여명의 영월군민과 신청자, 외국인들이 위관을 갖춰 함께 걷는 장관을 펼칠 예정이다.

이날 오후 동강둔치에서는 아주 큰 칡줄다리기 행사가 펼쳐진다.

조선 숙종 때부터 시작된 지역 행사로 길이 70m·무게 8t의 칡줄을 가지고 200여명의 장정들이 편을 나눠 힘을 겨룬다. 단종의 위패를 모셔놓고 편장들의 지휘 아래 진행되며, 규모면에서 볼 때 전국 최고를 자랑한다.

특히 이 줄다리기에 사용된 칡줄을 몸에 지니면 아들을 낳는다는 말이 전해져, 행사가 끝난 뒤 칡줄을 몰라 잘라 가는 이들도 종종 볼 수 있다.

올해는 국장행렬과 칡줄다리기 행사에 일반 관광객들도 참여할 수 있다. 참가를 원하는 이들은 영월관광 홈페이지(www.ywtour.com)에서 접수하면 된다. 국장과 칡줄다리기 외에 다른 행사도 신청할 수 있다.

칡줄다리기가 끝나면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져 즐길 수 있는 '화합 한마당'이 펼쳐지며 단종문화제 사흘 간의 일정을 마무리 할 예정이다.

◆동강둔치엔 전통 먹을거리 푸짐

단종문화제 기간 동안 동강둔치에서는 지역 부녀회에서 먹거리촌을 운영, 전통 먹을거리를 판매한다.

또 페이스페인팅, 단종스토리텔링 투어, 전통음식재현, 왕실가족으로의 초대, 비누공예, 전통 등 만들기, 옛적 단종문화제 사진전, 민속놀이체험 등도 마련했다.

인터넷 사전 접수가 필요한 일부 체험행사를 제외하고는 현장에서 바로 참여할 수 있다. 문의: www.ywtour.com/박지원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