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준비는 낙제점에 가까웠다. 중산층 베이비부머도 은퇴 후를 낙관하기 어렵게 됐다.
22일 메트라이프 노년사회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베이비부머(49~57세)들의 은퇴준비 점수는 100점 만점에 62.22점으로 평가됐다.
공동연구 책임자인 한경혜 교수(서울대)는 "전체적인 은퇴준비정도는 낙제점에 가까운 62점이었고, 특히 재무준비가 가장 낮다"면서 "국가와 개인 차원의 대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점수 결과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관여(68.62점) 영역에서 은퇴준비 점수가 가장 높고, 건강(66.36점), 심리(61.3점), 재정(52.6점)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정 영역은 50점 초반에 불과해 준비가 가장 미흡했다.
한 교수는 "이 같은 결과는 은퇴 후 재정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수준임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자산을 어느정도 갖고 있는 중산층 베이비부머도 재정적인 어려움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은퇴 후 생활비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이날 삼성증권이 발표한 만 40∼59세의 전국 중산층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월31일부터 2월7일까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뚜렷하다.
삼성증권은 은퇴 후 월 생활비가 339만원으로 예상했던 218만원보다 121만원이나 더 많이 들어간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부채를 포함한 평균자산이 6억2000만원, 평균 금융자산 1억3700만원을 보유한 중산층이다.
실제로 이들 중 또 은퇴 후 가장 큰 부담을 생활비로 꼽은 응답자 비율이 51.4%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할 일이 없는 것 21.7%, 의료비 17.6%, 자산가치하락 5.6% 등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