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쏟아지는 폭우 ‘물 만난’ 상품

길어진 장마가 온라인쇼핑몰의 베스트셀러 상품 순위를 뒤바꿔놓았다. 통상적으로 휴가철인 7월에는 수영복, 튜브 등 물놀이 용품이 많이 팔리는데, 올해는 계속되는 폭우에 우산·우비·레인부츠 등 장마용품과 제습제·빨래건조기 등 제습용품이 품귀현상을 보일 정도로 인기다.

오픈마켓 11번가의 문지형 매니저는 “궂은 날씨로 마트·백화점 이용객들이 집에서 온라인 쇼핑을 즐기면서 생필품 매출도 덩달아 치솟았다”며 “티슈, 기저귀 등 생필품 판매는 지난해 7월보다 30%가량 늘었고, 반조리 식품 등 가공식품 역시 35%가 넘게 매출이 올랐다”고 말했다.

특히 “비가 그친 뒤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과일, 채소 등을 미리 확보하려는 심리 때문에 수박, 복숭아, 사과 판매량은 200% 이상 늘었다”고 덧붙였다.

물먹는하마 매출 40% 급등

각 온라인쇼핑몰에선 가전 제습기와 물먹는하마 등 제습용품은 작년보다 40% 넘게 매출이 상승했다. 올해 출시된 제습기는 기존의 제습기능에 공기청정기능이 추가된 것이 특징으로, 20만원대 제품을 많이 찾는다. 우산(270%), 레인부츠(120%) 등도 올여름 이상 기후 수혜 상품으로 꼽혔다.

또 예년과 다르게 긴 우기로 전염병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상황. 몸과 집 안 곳곳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팡이제로’ ‘데톨’ ‘페브리즈’ 같은 제품도 스테디 셀러로 자리 잡았다.

리필용 제습제도 불티

쏟아지는 비에 기발한 아이디어 상품도 속속 등장했다. 선풍기와 빨래건조대를 조합한 ‘신바람 빨래를건조기’는 평소엔 선풍기로, 빨래 말리고 싶을 때는 건조기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에 효율적이다.

최근 들어 제습제를 집에서 직접 만들어 쓰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리필용 제습제도 불티나게 팔린다. 빈 용기에 염화칼슘을 넣기만 하면 돼 사용하기에도 간편하다. 기호에 따라 참숯을 첨가할 수도 있다. 특히 충북 진천군에서 굴참나무로 만든 숯의 품질이 뛰어나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관련 제품 매출이 급등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