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40억여 명의 스포츠 축제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이 1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로 16회째를 맞는 하계 아시안게임은 12∼27일 중국 광저우에서 열엿새 동안 투혼의 드라마를 엮어간다.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 종합 2위의 영광을 지키려는 태극전사들을 향해 전 국민의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 41개 종목 1013명 파견
1990년 베이징 대회 이후 20년 만에 중국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는 45개국 1만2000여 명의 선수단과 임원이 참가하는 역대 최대 규모다. 종목(42개)과 금메달 수(476개)도 사상 최다다.
크리켓, 댄스스포츠, 바둑 등이 추가돼 금메달은 4년 전보다 52개가 늘었고, 2014년 인천 대회부터는 35개로 개최 종목을 줄일 예정이라 이번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될 전망이다.
한국은 크리켓을 제외한 41개 종목에서 1013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4회 연속 종합 2위 수성을 노린다. ‘효자 종목’인 태권도, 레슬링, 사이클, 양궁 등을 선봉으로 금메달 65개를 목표로 세웠다.
태권도는 총 16체급(남녀 8체급) 중 12체급에 출전해 9개 이상의 금메달을 노리고, ‘태극 궁사’들도 남녀 모두 2회 연속 개인·단체전 금메달을 목에 걸겠다는 각오다. 야구를 비롯해 축구와 남자 배구, 남녀 핸드볼, 남녀 하키 등 구기 종목에서도 선전이 기대된다.
가장 많은 금메달이 걸려 있는 수영(51개)에서는 ‘마린보이’ 박태환에게 기대를 걸고 있다.
한국과 2위를 다툴 일본 역시 이번 대회에 사상 최대 규모인 1100여 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2위 탈환을 벼른다. 수영, 육상 등 메달 수가 많은 종목에서 중국과 양강 체제를 구축하고 있어 한국은 ‘오일 머니’를 앞세운 중동 국가들의 선전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홈팀 중국은 대회 사상 최초로 금메달 200개 돌파를 노린다. 도하 대회 때 메달밭인 수영에서만 경영 16개, 다이빙 10개,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2개 등 금메달을 28개나 쓸어담았고 사격(27개), 육상(14개), 체조(11개), 역도(10개), 탁구(6개), 배드민턴(4개) 등 여러 종목에서 정상을 지켰다.
◆ 태환·미란 中라이벌과 한판
스포츠 팬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빅 매치도 즐비하다. 수영에서는 박태환과 중국의 장린이 대회 초반 자유형 200m, 400m, 1500m에서 자존심 대결을 펼친다. 역도 최중량급( 75㎏급)에서 세계선수권대회 4연패의 위업을 달성한 장미란은 아직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목에 걸지 못했다. 중국의 멍수핑이 최대 라이벌이다.
금메달 개수는 1개지만 야구와 축구는 인기 면에서 단연 최고. 조범현 KIA 감독이 이끄는 야구 대표팀은 역대 최강 드림팀으로 금메달 사냥에 나서고, 24년 만에 금메달을 노리는 축구도 8일 북한과 대회 첫 경기를 치른다.
U-17 여자월드컵 우승, U-20 월드컵 3위 등 잇단 낭보를 전한 여자 축구의 경기도 관심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