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외인 매도에 2570선 후퇴…2570.70마감

코스피가 미국 국채 금리 급등에 따른 기관과 외국인 동반 순매도세에 2570선으로 밀렸다. 2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4.22포인트(1.31%) 하락한 2570.70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05포인트(0.16%) 내린 2600.87로 약보합 출발했지만, 곧장 낙폭을 1.55%까지 늘리면서 2560대로 후퇴하기도 했다. 코스피에서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3077억원, 2949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홀로 5819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부진했다. 통신업(1.99%), 전기가스(1.86%), 보험업(1.45%) 등이 그나마 올랐고, 의약품(-2.62%), 의료정밀(-2.59%), 화학(-2.26%), 전기전자(-2.10%) 등은 떨어졌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서는 KB금융(0.64%), 신한지주(0.36%) 등을 제외한 전 종목이 하락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93%), 기아(-2.63%), 삼성전자(-2.20%) 등이 큰폭으로 내렸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61포인트(-2.84%) 떨어진 738.34에 마침표를 찍었다. 개인은 3040억원을 사들였다. 외국인은1574억원 기관은 1415억원을 팔아치웠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서는 전 종목이 하락했다. 특히 클래시스(-9.37%), 엔켐(-5.17%), 에코프로비엠(-4.97%) 등이 크게 떨어졌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11bp(1bp=0.01%포인트) 급등하면서 금융시장에 악재로 작용했다"며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대선 승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재정적자 확대로 인한 국채금리 상승 가능성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가 오늘도 취약한 모습을 보였는데, 트럼프 트레이드가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분위기"라며 "달러 강세, 시장 금리 급등, 주식시장 약세가 트럼프 트레이드의 결과물이자 공식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4.9원 오른 1380.1원을 나타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6:31:23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쌀 때 사자"...급락한 종목 집중 매수

증시 불확실성으로 미국 배당주를 매수했던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최근 급락 종목을 중심으로 매수세를 확대하고 있다. 이들 종목이 조만간 반등할 것으로 보고 저가 매수 관점에서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14~21일) 서학개미가 가장 많이 사들인 미국 주식은 테슬라로 2억4365만달러 어치가 유입됐다. 같은 기간 테슬라의 하루 주가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TSLL) 에 대한 순매수 금액은 1억6697만달러로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마찬가지로 테슬라 2배 레버리지 상품인 티렉스 2배 롱 테슬라 데일리 타겟 ETF(TSLT)에도 3015만달러어치가 몰렸다. 테슬라 주가가 이달 11일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 공개 후 급락하자 서학개미들이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가 미국에서 로보택시를 공개한 11일 주가는 8.8% 급락한 이후 반등세를 보이다가 다시 3거래일 연속 하락하는 등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밖에도 서학개미는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이 실적 부진 전망으로 주가가 크게 떨어지자 6389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ASML은 지난 15일 16.3%, 지난 16일 6.4% 각각 하락했다.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3일(한국시간 24일)에 있을 테슬라의 3분기 실적 발표에 쏠려 있다. 실적에 따라 주가가 크게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수익성 우려로 테슬라의 실적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미 3분기 판매대수는 전년 대비 회복한 모습을 보여준 가운데 올해 3분기 자동차 매출총이익률이 19% 이상 상승 등 수익성도 동반 회복됐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테슬라 주가 조정 시마다 매수하는 전략을 추천했다. 고민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로보택시 행사 이후 테슬라 주가는 단기 하락이 예상되지만, 이러한 주가 조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출시 시기 측면에서 다소 아쉬운 점은 존재하지만, 이번 행사를 통해 자율주행시스템(Unsupervised FSD)이나 사이버캡의 경쟁력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율주행 산업이 지닌 잠재적 부가가치와 테슬라가 지닌 기술적 경쟁력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기에 중장기 투자 방향성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6:08:57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삼성운용,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등 2종 상장

삼성자산운용은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상장지수펀드(ETF)'와 'KODEX 반도체 레버리지 ETF' 2종을 신규 상장한다고 22일 밝혔다.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ETF는 미국나스닥100지수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데일리 OTM(Out of the money·외가격) 옵션을 활용한 100% 커버드콜 전략으로 일정 수준의 시세차익과 더불어 높은 프리미엄수익을 추구한다. 이 상품은 삼성자산운용이 나스닥과 오랜 기간 협업해 만들었으며, '시차 없는 데일리 실물 옵션매매를 실행하는 국내 첫 ETF'다.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ETF가 추종하는 지수인 '나스닥 100 데일리 커버드콜 101'의 최근 5년 프리미엄수익은 평균 52% 수준이다. 프리미엄이 가장 낮았던 2019년에도 23% 수준(월 분배율 1.74%)을 기록했다. 이 ETF는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는 월배당 상품으로 옵션프리미엄 수준이 매월 달라짐에 따라 최대 분배율을 연 20%(월 1.67%)로 제한했으며, 이를 초과하는 프리미엄은 재투자해 복리효과를 추구한다. 월 분배율은 기존 국내 월배당 ETF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이다. KODEX 반도체 레버리지 ETF는 한국거래소의 KRX 반도체 지수를 2배로 추종한다. 이 지수는 삼성전자(38.7%), SK하이닉스(42.9%), 한미반도체(19.6%)를 집중적으로 편입하고 있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 상무는 "미국 증시가 연일 신고가를 갱신하면서 오랜 기간 상승한 만큼 당분간 속도 조절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상당히 많다"며 "나스닥100지수의 일간 1% 시세 상승까지 참여하면서 최대 연 20% 수준의 월배당을 추가로 추구하는 100% 데일리 커버드콜OTM 전략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반도체 분야는 전형적인 사이클 산업이라는 점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반도체 산업의 사이클에 따라 매매하는 경향이 짙다"며 "KODEX 반도체 레버리지 ETF는 국내 반도체 업황을 대표하는 KRX 반도체 지수를 2배 추종하는 만큼 최근 조정기를 탈피할 것으로 판단하는 적극적인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상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6:08:23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개최…3000만원 기부

유안타증권은 지난 21일 경기도 양평군 더스타휴골프앤리조트에서 '제6회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대회에 초청된 유안타증권 최우수 고객 100여 명은 유명 KLPGA 선수 36명과 각 조에 함께 편성돼 동반 라운딩을 했다. 뤄즈펑 유안타증권 대표이사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진행된 자선 프로암대회는 누구에게나 우승의 기회가 주어지는 신페리오 방식으로 열렸다. 홀인원&기부 이벤트, 롱기스트/니어리스트 이벤트 홀, 칭찬뽑기 이벤트 및 골프용품 체험 행사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됐다. 또한 유안타증권 출연 기금에 홀별 미션 성공 시 적립된 기부금을 합해 사회공헌기금 3000만원을 아름다운재단에 전달하는 행사도 가졌다. 이번에 마련된 기부금은 올해 건립 예정인 서울시 양천구 신트리공원 내 '장애·비장애 실내 놀이터 지원사업'에 쓰일 예정이다. 뤄즈펑 대표이사는 이날 인사말을 통해 "자선 프로암대회는 유안타증권을 사랑해 주시는 고객에게 깊은 감사를 드리고자 마련한 행사로 자리를 빛내 주시고 따뜻한 나눔의 가치를 실현해 주신 고객들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고객과 사회를 향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금융회사가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6:05:46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가을 바람에 '배당주' 눈길...투자 매력도 '긍정적'

국내 증시의 높은 변동성에도 배당 관련 종목들이 상승세를 보이며 선방하고 있다. 배당기준일 변경으로 '찬바람이 불면 배당주'라는 격언의 의미는 무색해졌지만 금리 인하 구간, 배당성향 개선 가능성 등이 엿보이면서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유지되는 모습이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고배당 50' 지수는 최근 한 달(9월 23일~10월 21일) 동안 약 0.70% 상승했다. 해당 지수는 코스피 상장 종목 중 배당수익률이 높은 50종목으로 구성됐다. 코스피가 박스권에 머물면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국내 배당 관련 종목들의 주가는 양호한 성적을 내고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시가배당률이 높은 증권주·통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KRX 증권' 지수는 2.26%, 'KRX 방송통신' 지수는 1.32%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0.45% 상승에 그쳤다. 과거 배당기준일이 12월에 말에 몰려 있어 10월부터 배당주가 강세를 보였다. 다만 지난해부터는 상법의 유권해석이 변경되면서 2023년 결산배당부터는 배당기준일을 12월 말에서 주주총회 이후로 미룰 수 있게 됐다. 배당금이 결정되기 전 배당을 받게 되는 '깜깜이 배당 투자' 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배당기준일이 내년 1분기로 늦춰졌지만 가을 바람과 함께 시작되는 배당주 투자 전략은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다. 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시장 변동성이 증가하는 구간에서 국내 배당주 지수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기록했다"며 "방어적인 시장 대응이 필요한 국면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배당주는 긍정적인 접근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시장이 금리 인하 기조를 가지고 간다는 점에서 배당주 매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9월 미국이 '빅 컷(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한 것에 이어 이달 11일 한국은행도 3년 2개월 만에 통화정책 전환(피벗)을 선언하면서 기준 금리를 인하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주식시장에서 가장 확실해 보이는 변수는 미국의 금리 인하"라며 "금리 하락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성장주와 배당주 중심의 접근이 유효하다고 판단한다"고 제언했다. 더불어 미흡한 성과로 지적받고 있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참여사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배당주에 대한 긍정적 기류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2일 기준 밸류업 공시를 진행한 기업 수는 48곳으로 '밸류업 지수 발표' 이후 한 달 만에 17.28%(12곳)가 늘어났다. 염 연구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금리 하락 구간에서는 성장주보다 배당주가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며 "밸류업 프로그램과 주주가치 제고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배당성향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10-22 15:01:06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9월 기업 직접금융 조달실적, '회사채'가 끌어 올렸다

지난달 주식 발행을 통한 기업들의 자금조달은 감소한 데 반해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9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9월 중 주식 발행 규모는 1111억원으로 전월인 8월(3837억원) 대비 2726억원 감소했다. 무려 71.0% 줄어든 셈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업공개(IPO) 건수가 4건에 총 618억원, 유상증자 건수는 2건에 49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8월과 비교해 IPO는 73.7%, 유상증자는 66.8%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기업 유상증자가 부재한 가운데, 중소기업 유상증자 규모도 지난달 총 493억원을 기록했다"며 "이 역시 8월 기록한 662억원 대비 감소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반면 9월 회사채 발행 규모는 전월 기록한 19조7182억원보다 59.9%(11조8172억원) 늘어난 31조5354억원에 달했다. 세부적으로 일반회사채는 3조710억원(34건)으로 전월 1조3970억원(16건) 대비 1조6740억원(119.8%) 급증했다. 자금용도는 대부분 차환 용도로 발행됐으며 운영자금 용도 발행비중은 줄었고 시설자금 용도는 없었다. 신용등급을 보면 주요국의 금리인하 등으로 위험회피 성향이 완화되면서 A등급 이하 비우량물 발행비중이 확대됐다. 만기는 장기채(5년 초과)와 중기채(1년 초과 5년 이하)의 발행 비중이 상승하고, 단기채(1년 이하) 발행은 없었다. 금융채의 9월 발행 규모는 26조7643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월보다 9조9352억원(59.0%)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은행채는 전달보다 100.9%(6조1512억원) 증가한 12조2453억원에 달했다. 자산유동화증권(ABS)은 1조7001억원으로 전월 대비 13.9%(2080억원) 증가했다. 이에 지난달 말 기준 전체 회사채 잔액은 672조9873억원으로 전월 말(661조2854억 원) 대비 11조7019억원(1.8%) 늘었다. 한편,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총발행액은 122조5189억을 기록했다. CP 41조3269억원, 단기사채 81조1920억원으로 전월 대비 6조6833억 원(5.8%) 증가했다. CP 잔액은 201조7472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8조2648억원(4.3%), 단기사채 잔액은 68조8008억 원으로 2조6440억원(4%) 확대됐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4-10-22 14:52:50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한화운용, 미국 성장주에 중점둔 ETF 2종 출시..."연금 투자에 제격”

한화자산운용이 미국 성장주에 중점을 둔 상장지수펀드(ETF) 2종, 'PLUS 미국S&P500성장주'와 'PLUS 미국배당증가성장주데일리커버드콜'을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다. 한화자산운용은 2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새로 출시된 ETF를 소개했다. 'PLUS 미국S&P500성장주'는 S&P500 지수 내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 가중치를 두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IT 등 고성장 섹터의 비중을 높여 S&P500 대비 높은 수익률을 추구한다. 한화자산운용에 따르면 백테스트 결과 해당 ETF는 최근 20년간 S&P500 대비 지속적인 초과 성과를 보였다. 지난 20년 동안 매월 50만 원씩 적립식으로 투자했을 때 투자자산은 약 6억3000만원으로 S&P500에 동일한 방법으로 투자했을 때(4억8000만원)에 비해 자산이 약 1억5000만원 이상 더 증가했다. 한화자산운용 관계자는 "헬스케어, 금융, 소비재 등 다양한 섹터에 분산 투자하기 때문에 빅테크 등 기술주 중심으로만 구성된 ETF에 비해 변동성이 낮다"며 "안정성을 필수로 고려해야 하는 연금자산 투자에 적합한 상품이다"라고 말했다. 'PLUS 미국배당증가성장주데일리커버드콜'은 미국 성장주 중에서도 높은 배당을 지급하고 5년 연속 배당을 증가시킨 종목에 투자하는 동시에, 매일 S&P500 콜옵션을 매도해 분배금 재원을 마련하는 월배당 커버드콜 ETF다. 이 ETF는 'Bloomberg US 1000 Growth Index'에 포함된 종목 중 배당이 꾸준히 증가한 기업들로 구성된다. 국내에서 배당 성장 ETF로 가장 많이 알려진 슈드(SCHD)가 가치주 중심으로 구성된 것과 달리 'PLUS 미국배당증가성장주데일리커버드콜'은 성장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가 꾸려졌다. 또한 통상 주가 상승이 제한되는 100% 커버드콜 전략과 달리 콜옵션 매도 비중을 15%로 낮추고 주가 흐름에 85% 참여해 상승장에서 성장주의 주가 상승 기회를 누릴 수 있게 설계됐다. 커버드콜 전략의 일반적 한계인 상승 제한 효과를 최소화해 수익률 측면에서 SCHD를 초과하는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PLUS 미국배당증가성장주데일리커버드콜' ETF는 매월 15일 분배금을 지급한다. 매월 말일 분배금을 지급하는 'PLUS 고배당주',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ETF와 함께 투자할 경우 월 2회 배당받는 인컴 전략을 완성할 수 있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본부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을 추구해야 하는 연금 투자자들에게 오랜 기간 지속 성장해 온 미국 성장주를 활용한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다. 신규 상장 ETF 2종은 이러한 성장성을 바탕으로 각각 연금 적립기와 수령기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이라며 "최근 미국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서 앞으로 성장주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투자를 시작하기에 좋은 시기"라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3:54:14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키움증권, 소방공무원 200명 눈 수술비 3억원 기부

키움증권이 소방관 약 200명의 눈 수술비를 지원한다. 키움증권은 소방공무원 시력 개선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인 '키움과 밝음' 기부금 3억원을 사단법인 소방가족희망나눔에 전달했다고 22일 밝혔다. '키움과 밝음'은 시력이 나빠진 소방관의 눈 수술을 지원해 화재 현장에서 더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돕는 키움증권 프로젝트다. 소방가족희망나눔은 순직소방관의 유가족들로 구성된 소방관련 비영리 단체다. 소방공무원 처우개선 및 순직소방관 유가족 자조모임 등을 진행하고 있다. 소방관들은 고질적인 시력 저하에 시달린다. 교대 근무나 야간 운행으로 인한 간접적인 요인 외에도 화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독성가스가 직접적으로 시력에 악영향을 끼친다. 시력이 나빠지면 렌즈나 안경을 착용하고 공기호흡기를 써야 하는 불편 때문에 많은 소방관들이 자비로 시력 교정 수술을 받는다. 이런 소방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키움증권이 후원에 나섰다. 소방청은 눈 수술이 필요한 소방관 약 200명을 선발한다. 소방가족희망나눔은 국내 최대 시력교정 및 안질환 전문 하늘안과의원과 함께 선발된 소방관의 개별 안구 검사와 수술 과정을 담당한다. 하늘안과의원은 1인당 약 60만원 정도인 수술 전 검사 비용을 무상으로 지원한다.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는 "이번 지원으로 소방관이 더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고, 나아가 국민 안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3:53:37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삼성증권, 이달 말까지 '나만의 주식모으기' 이벤트 진행

삼성증권은 주식·상장지수펀드(ETF)를 자동으로 모을 수 있는 '주식모으기' 서비스 오픈 기념 이벤트를 10월 말까지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증권의 '주식모으기' 서비스는 주식을 정기적으로 자동 적립하고 싶거나, 다양한 종목에 꾸준히 투자하고 싶은 고객, 원하는 타이밍에 자동 매수하고 싶은 고객에게 유용한 서비스다. 특히 연금저축의 경우 머니마켓펀드(MMF) 자동매도를 통해 편리하게 투자가 가능하다. 이달까지 삼성증권 모바일 앱 엠팝(mPOP)을 통해 주식모으기 또는 ETF모으기를 1종목 이상 등록하고 모으기에 성공한 고객을 대상으로 커피 기프티콘 최대 3잔(선착순 2만잔)을 제공한다. 종합계좌 혹은 외화은행연계계좌, 중개 개인종합자산관리(ISA)계좌, 연금저축계좌에서 계좌별 조건을 각각 달성하면 1잔씩, 최대 3잔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주식모으기 또는 ETF모으기를 10번째까지 모으기 성공한 고객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명품 키링을 5명에게 제공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나만의 주식모으기' 이벤트의 선착순 참여 고객이 이벤트 개시 2주 만에 5000명을 돌파할 정도로 주식모으기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앞으로도 고객 편의를 위해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3:53:33 원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