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3분기 ABS 발행액 39% 급감…특례보금자리론 종료로 MBS↓

/금융감독원

올해 3분기 등록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분기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이 10조 70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조 9000억원(39.3%) 감소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자산유동화증권'은 부동산, 매출채권, 주택저당채권 등과 같이 유동성이 떨어지는 자산을 담보로 해 발행하는 증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부실채권(NPL)을 기초로 하는 상품은 지난해 3분기 1조1000억원에서 올 3분기 1조9000억원으로, 발행 금액이 8000억원 증가했다. MBS가 12조2614억원에서 3조9729억원으로 8조2885억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도 700억원으로, 1750억원 감소했다.

 

반면 매출채권을 기초로 하는 ABS는 카드채권과 할부금융채권 기초 상품 발행 확대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525억원(37.6%) 늘어난 3조8505억원을 기록했다.

 

자산보유자별로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일반기업의 ABS 발행 규모는 감소한 반면 금융회사의 발행규모는 증가했다.

 

주택금융공사는 특례보금자리론이 1월 종료돼 MBS 발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MBS 발행은 12조2614억원에서 3조97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6% 급감했다.

 

금융회사는 여전사의 할부금융채권 및 은행 등의 부실채권(NPL) 기초 ABS 발행 확대 등으로 전체 발행 규모가 43.6% 증가했다. 금액은 3조9110억원에서 5조6171억원으로 늘었다.

 

일반기업 발행액은 단말기할부대금채권 등을 기초로 한 ABS 발행 규모가 23.8% 줄어 1조1130억원을 기록했다.

 

은행 등의 부실채권 매각을 통한 자산건전성 확보 노력에 따라 3분기 NPL 기초 ABS 발행은 전년 동기 대비 71.6% 늘었다. 발행액은 지난해 1조1000억원에서 올해 1조900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여전사의 렌탈채권 기초 ABS는 지난 5월 여전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개정에 따라 여전사의 자금조달 수단이 확대됨에 따라 최초로 발행됐다. 발행액은 3분기 400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등록 ABS 전체 발행잔액은 3분기 말 기준 258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말 대비 12조8000억원(5.2%) 증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