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노벨상에, 경영권 분쟁에...테마株, 급등락 롤러코스터 주의

ChatGPT로 생성한 '높은 주가 변동성을 보이는 테마주' 이미지.

최근 노벨상, 경영권 분쟁 등에 관련한 '테마주'들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다만 이벤트성이 짙은 주가 흐름인 만큼 급등·급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노벨문학상 테마주로 분류되면서 상한가를 기록하던 예스24가 3거래일 오름세 이후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 이후 2거래일 동안 상한가를 보였지만 3거래일에는 5.55% 오르면서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이후 4거래일 차에는 11.43% 급락했으며, 이날도 6.58% 내림세를 보였다. 예스24의 모회사인 한세예스24홀딩스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이날 1.66% 오르기는 했지만 2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후 다음 날부터 21.97%, 8.77%씩 크게 떨어지면서 상승분을 반납하기 시작했다.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출판 기업들의 주가가 신드롬을 맞이하는 듯했지만 단기적인 관심이 쏠린 탓에 급등락이 이뤄지는 모습이다. 이외에도 '노벨상 테마주'로 급등했던 삼성출판사, 밀리의서재, 예림당 등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티웨이항공의 최대 주주인 예림당은 '경영권 분쟁 테마주'로도 분류되면서 '더불 테마주'에 등극한 종목이다. 다만 2대 주주인 대명소노그룹이 경영권 분쟁과 관련한 추가 지분 매입 계획이 없다고 밝히면서 주가 변동성이 줄어들었다.

 

'쩐의 전쟁' 1라운드를 마친 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의 주가도 널뛰기를 반복했다. 고려아연의 주가는 9월부터 이달 16일까지 51.21% 올랐다. 해당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신고가를 경신했으며, 지난 15일에도 52주 신고가를 다시 썼다. 더불어 같은 기간 영풍 정밀의 주가도 211.61% 올랐다.

 

다만 경영권 분쟁이라는 키워드를 달고 있는 만큼 여전히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고 있다. 현재 고려아연은 MBK파트너스의 공개매수 종료일에 발생한 '시간 주가 급락 미스테리'에 대해 '시세조종 행위 여부' 조사를 요청하며 금융당국에 진정서를 제출한 상태다. 자본시장법 제176조 제2항 1호에 따르면 '증권 또는 장내파생상품의 매매가 성황을 이루고 있는 듯이 잘못 알게 하거나 그 시세를 변동시키는 매매 또는 그 위탁이나 수탁을 하는 행위'를 금지한다고 적시하고 있다.

 

MBK의 공개매수 마지막 날이었던 14일 고려아연의 주가는 오전부터 꾸준히 상승하며 당일 최고가인 82만원을 터치했지만, 이후 두 시간 만에 최저가인 77만9000원까지 떨어지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MBK의 공개매수가 실패할 가능성이 높았던 시점인 만큼, 고려아연의 주가를 인위적으로 낮췄다는 의심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고려아연이 자사주 공개매수 가격을 상향한 상황이었음에도 직전 거래일 종가보다 1000원(0.1%) 감소한 79만3000원으로 장이 종료됐다.

 

황세운 자본시장 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기대 수익률이 굉장히 높아지면서 이전보다 테마주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고, 이를 활용해 수익률을 높이겠다는 욕구도 커져 있는 상태"라며 "테마주들은 주가 상승이 유지되는 경우보다 원상복귀하는 경향이 크다. 이 과정에서 주가 급락 등이 나타나는 것은 일반적이기 때문에 투자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제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